우분최소설치+lxde

이 자료는 보관용입니다
출처 블로그에서 보시길 바랍니다

원문출처:  http://mcchae.egloos.com/10991779

지난번 Ubuntu를 제외한 가벼운 X-Window 환경으로Debian 6.0.6 + LXDE 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우분투에 패키지와 제법 다른 호환성 때문에 아무래도 여러 개발을 하다보면 문제가 될 수 있겠다 싶어,결국은 최초의 우분투 12.04 + Xfce4 가벼운 데스크탑 환경의 관점에서 생각하여그러면 Ubuntu 12.04 LTS 의 JEOS 최소 가상머신 시스템 설치에서 출발하여 LXDE를 설치하면되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역시나… 이 환경이 제일 마음에 드네요.앞으로 리눅스 개발 데스크탑 환경은 이것으로 결심했습니다.(매번 결심만 합니다~ ^^)

1) 최소 가상머신 설치
(14.04도 해 보았는데 거의 동일합니다.)
JEOS(Just Enough OS) 라는 개념의 최소 가상머신 설치 라는 것은,어떤 시스템이던 간에 최소의 우분투 리눅스 운영 환경이 설치되는 것입니다.수백 메가의 하드 공간만을 가지고 설치 가능할 것입니다.
CD를 넣고 최초 부팅을 하면 나오는 화면으로 “한국어”를 선택하였습니다.
F4를 누르고 제일 아래의 “최소 가상 머신 설치”를 선택했습니다.그리고 “우분투 서버 설치”를 위하여 엔터를 누릅니다.
한글을 선택하면 위의 안내화면이 나오는데, 예,
대한민국 선택,
디폴트 키보드 배열을 위하여 “아니오” 선택,
한국어를 선택하고,
적당한 키보드 선택 후,
호스트 이름을 지정하고,
적당한 사용자 전체 이름을 입력합니다.
사용자 계정 ID를 입력합니다. 위의 toor 대신 자신의 계정 이름을 넣으시면 됩니다. 아래에서는 toor 대신 자신의 계정으로 대신 생각하시면 됩니다(그 다음 암호와 암호확인도 물어봅니다.)
시작폴더를 암호화 하지 않았습니다.
타임존을 선택하고,
디스크 전체를 사용한다 하고,
바뀐점을 디스크에 쓰고, 예,
인터넷 연결을 위하여 프록시를 사용하냐고 물으면 그냥 공란에 계속,
기본 패키지를 설치중입니다.
자동업데이트 하지 않고 수동으로 필요시마다 할렵니다
일단은 OpenSSH 만 활성화 합니다
마지막으로 GRUB 부트 로더를 설치합니다.
설치를 마칩니다. “계속”을 누르면 reboot 됩니다.

2) 재기동 후 필요시 IP 설정
이전에 입력한 사용자(toor)와 암호로 로그인 한 다음,
$ sudo vi /etc/network/interfaces로 해당 파일을 편집하여,
위와 같이 설정을 변경하여,
$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명령으로 네트워크를 재기동 시킵니다.

3) 데스크탑 환경 설치
$ sudo apt-get install xrdp lxde lxdm lxterminal ttf-nanum ttf-nanum-coding ibus-hangul im-switch zenity
만약 Sublime Text 2와 같은 에디터를 사용한다면 안 깨지는 한글 입력기는 uim 이라는 것입니다.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설치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xrdp lxde lxdm lxterminal ttf-nanum ttf-nanum-coding uim uim-hangul im-switch zenity
이 명령으로 데스크탑 환경이 한번에 끝납니다.
참고!!!
우분투 14.04LTS 버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 sudo apt-get install xrdp lxde lxdm gnome-terminal lxterminal fonts-nanum fonts-nanum-coding uim uim-byeoru im-switch zenity

(혹시 위의 명령이 오류가 나시면, 하단의 5번을 먼저 수행하신다음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463메가 정도를 더 설치한다고 하네요. 이 정도면 훌륭합니다.

설치를 마치고,
$ sudo shutdown -r now로 재 기동을 시키면,
깔끔한 lxdm 로그인 매니저네요.
한글 설정도 $ im-switch -c 명령을 넣고 위와 같이 ibus를 선택합니다.
ibus-setup 으로 디폴트 “Control+Space”를 “Shift+Space”로 변경하였습니다.(저는 맥에서 Contrl+Space가 알프레드 론쳐 핫키라, 고전적인 Shift+Space로 변경하였습니다)

원격 데스크탑으로 접속이 잘 됩니다.

4) LXDE 설정
왼편 아래 세번째의 크롬브라우저 론쳐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눌러 “실행막대” Settings 를 선택한 후,
메뉴에서 필요한 만큼의 앱을 선택하여 “Close” 합니다.
더 자세한 LXDE 환경 설정은[LXDE] X 윈도우 매니저 환경 설정을 참고하셔요.

5)  apt 소스 변경
우분투를 사용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8.04, 10.04, 12.04, (14.04) … 등과 같이짝수년의 4월에 출시되는 버전은 LTS (Long Term Service)라 하여기존의 2년 정도 해당 버전의 패키지에 대한 유지관리 대신5년 동안 패키지 업데이트를 보장합니다.물론 중간에 OS를 비롯한 버전업을 하면 문제 없지만,출시된 제품인 경우에는 중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습니다.
또한 이 패키지가 국내 미러사이트인 http://ftp.daum.net/ubuntu 에서미러링을 하고 있으며 속도가 빠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수동으로 aptitude 소스를 수동으로 바꾸어 놓으면 편합니다.(GUI로는 업데이트 관리자에 소스 선택을 할 수 있으나 위와 같이 설치한 LXDE의 경우 업데이트 관리자가 안 보였습니다)
$ sudo vi /etc/apt/sources.list
위의 그림처럼 명령을 주어 ftp.daum.net 으로 모두 변경합니다.
위와 같이 security 소스도 수정합니다. (모두 미러링 되더라구요)
저장하고 나와,
$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시켜줍니다.
LXDE 환경 설정을 만질 필요가 있는데,해당블로그를 참고하셔요.
이상과 같이 현재 시점의 우분투 LTS 버전인  12.04 서버 버전의 최소가상시스템으로 설치 후LXDE 윈도우 매니저의 데스크탑 환경을 살펴보았습니다.
xfce4 윈도우 매니저가 가벼운 만변 일 부분에 대해서는무거운 것을 답습한다고 하였는데, LXDE는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가볍고, 사용하기 쉽고 크기도 작은 이 환경이제 가상머신의 리눅스 개발환경으로 딱 입니다.

어느 분께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